반응형

태풍은 날씨를 변화시키는 주된 원인 태양열로 원형과 비슷한 타원형인 지구는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하면서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량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가 생기며 대륙과 바다, 적도에서는 태양열에 의한 열에너지가 풍부하고 극지방 같은 고위도 지역에서는 열에너지의 결핍에 따른 열적 불균형이 일어납니다. 

불균형을 해소하고 평형을 이루려는 열역학적인 성질에 의해 에너지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규모의 대기 순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며 대기로 수증기 상승하여 열을 방출해 주변 공기 온도가 올라가 회전하며 상승기류가 형성되어 비구름이 발달하고 많은 공기가 모여 태풍이 발생합니다.

픽사베이

과거부터 동해안 지역은 태풍 피해가 심했습니다. 강우량이 많은 8월 말 이후부터 10월 사이에 닥친 '가을 태풍' 때문이라는 특징에 특히 피해을 많이 입었습니다. 이 무렵이 되면 태풍이 주로 발생하는 북태평양 적도 인근의 태양 고도가 높아지면서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게 됩니다. 1년 중 해수면 온도가 가장 높게 올라가면서 수증기 증발량도 그만큼 많아지기 때문에 태풍의 세력이 강해지게 되는 겁니다.

여름과 가을엔 겨울이나 봄보다 해수면이 더 높아집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태양의 고도가 높아지는 여름과 가을철에 바닷물이 상대적으로 더 따뜻해지면서 물의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고 여기에다 태풍의 낮은 기압과 거센 바람도 바닷물의 수위를 일시적으로 상승시킵니다. 태풍의 중심기압이 1hPa(헥토파스칼) 낮아질 때마다 주변 수위는 1㎝ 상승합니다. 올해 태풍 힌남노 때는 포항의 해수면 높이가 평소보다 약 63㎝ 높아졌다고 합니다. 다습한 바람이 동해안에 인접한 백두대간에 부딪쳐 급상승하여 많은 비가 내립니다

이렇게 덩치를 키운 태풍이 동해안 쪽으로 북상하게 되면, 태풍의 진행 방향 앞쪽에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태풍의 영향으로 강력한 동풍이 불게 되고 먼바다에서 연안 해안가 쪽으로 부는 이 다습한 바람이 동해안에 인접해 있는 높은 백두대간에 부딪혀 급상승하면서 많은 비가 내립니다. 바람에 포함된 축축한 습기가 높은 상공으로 올라가 이슬점 대기의 온도가 낮아져 수증기가 응결하기 시작할 때의 온도 이슬점에서 많은 비가 되어 내려 결국, 높은 산들이 줄줄이 늘어선 동해안 지역의 지형적 특성이 가을 태풍으로 인한 호우 피해를 더욱 키우는 것입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10월 태풍은 기후변화 영향 등으로 갈수록 잦아지고 있습니다. 2013년, 2014년엔 연속해서 10월 태풍이 발생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바닷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평소엔 바다를 향해 빠져나가는 강물이 정체되거나 상류를 향해 거슬러 올라가는 현상이 벌어지게 되죠. 그런데 동해안 하천의 육지와 접해 있는 물가 연안하구는 대부분 바다와 이어져 있습니다. 높아진 바닷물은 밀물이 몰려드는 만조 때 강어귀를 따라 역류합니다. 그러면 하천 하류의 수위도 덩달아 높아져 동시에 태풍으로 인해 발생한 큰 물이 상류로부터 빠르게 흘러내려 하천을 거슬러 올라오는 바닷물과 부딪히기도 합니다. 이때 물이 순간적으로 하천 밖으로 흘러넘치게 됩니다.
그런데 하천에서 바닥의 경사가 눈에 띄게 완만해지는 곳이 있습니다 이런 곳을 변곡부라고 하여 이곳에서는 물살이 갑자기 약해지기 때문에 토사가 많이 쌓이게 됩니다. 그러면서 하천 바닥이 높아져 제방(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큰 물이 범람하기 쉬운 조건이 됩니다. 대개 하천에는 운반된 자갈과 모래가 평지를 향해 부채 모양으로 퇴적되는 선상지와 밀물 때 바닷물이 밀려오는 밀물과 썰물의 영향이 미치는 강의 부분 감조 구역 등에 이런 변곡부들이 만들어져 있답니다. 그런데 내륙 지역의 하천은 변곡부 간의 거리가 상당히 멀지만 동해안 하천의 대부분은 변곡부가 가까이 붙어 있어 내륙 지역과 달리 백두대간을 타고 내려오는 동해안 지역의 하천은 길이가 상대적으로 아주 짧기 때문입니다. 길이가 짧으면 선상지와 감조 구역 등도 상대적으로 가까울 수밖에 없고 그럼 강바닥이 높아져 같은 양의 물이 내려와도 하천이 더 쉽게 범람하는 겁니다. 산에서 바다로 흘러들어 가는 강물 속의 흙과 돌인 토사는 입자 크기가 큰 순으로 바닥에 가라앉아 강 상류와 하류의 물살 세기는 서로 다릅니다. 강바닥 경사가 완만할수록 물살이 약해지고 상류 지역의 센 물살에 깎여 하류로 떠내려가던 토사가 물살의 세기가 줄며 큰 돌, 자갈, 모래 등의 크기순으로 가라앉는 겁니다.
동해안 하천 하구에는 모래 둔덕이 많아 큰 물이 빨리 빠져나가지 못하는 것도 범람의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동해안은 서해나 남해와 달리 조수간만(밀물과 썰물 때의 수위)의 차이가 크지 않아서 토사가 바다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강 하구에 쌓여 강물이 흘러가는 길의 일부를 막아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동해안 지역에 잦은 대형 산불도 큰 홍수의 원인으로 봄철 동해안에는 고온 건조한 강풍으로 대형 산불이 나기 쉽습니다. 산불이 난 곳에는 한동안 불탄 나뭇가지 등이 폭넓게 쌓여 있는데 이때 홍수가 나면 빗물을 머금는 숲이 없어 물이 불어나고, 산비탈이 깎이며 물과 함께 엄청난 양의 토사와 나뭇가지들이 계곡을 따라 떠내려 옵니다. 2000년 동해안에서 대형 산불이 난 뒤 2002년 태풍 루사가 왔을 때, 하천 교량을 뒤덮을 정도로 대형 토석류가 쏟아져 내린 것도 이 때문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