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윤달

🌕 윤달이란 무엇인가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음력은 **달의 움직임(삭망월)**을 기준으로 하는 달력입니다. 음력 한 해는 약 354일로, **태양력(365.24일)**보다 약 11일이 짧습니다. 이 짧아지는 시간차를 조정하지 않으면 계절과 달의 순서가 맞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윤달(閏月)’**입니다. 윤달은 이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2~3년에 한 번 추가로 끼워 넣는 한 달을 말합니다.

윤달은 ‘여분의 달’, 즉 보너스 달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윤달은 언제 생기나요?

윤달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천문학적 계산에 따라 매년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2025년에는 ‘윤6월’이 존재하며, 이 해에는 음력 6월이 두 번 들어가게 됩니다.

윤달은 보통 다음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 19년에 7번 삽입 (메톤 주기)
  • 삭망월과 태양년 사이의 차이 보정
  • 한국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매년 발표

🧙‍♀️ 윤달은 특별한 달이에요 – 민속적 의미

윤달은 단순히 달력상의 조정이 아닌, 오랜 시간 사람들의 믿음과 문화 속에서 특별한 시기로 여겨졌습니다.

✔ 귀신도 쉬는 달

윤달은 하늘이 만든 틈이라 여겨 신과 귀신도 간섭하지 않는 달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다음과 같은 일들을 해도 탈이 없고 복이 온다고 여겼죠.

✔ 윤달에 하는 일들

  • 이사: 액운을 피해 안전하게 자리 잡는다는 믿음
  • 혼례: 신의 간섭 없이 순조롭게 치러짐
  • 이장과 수의 준비: 조상 묘를 손보거나 장례 준비를 해도 불길하지 않음
  • 부적이나 고사: 신이 쉬는 달이라 잡귀도 함께 쉬는 시기로 인식

🧾 윤달과 윤년, 헷갈리시죠?

구분윤달윤년
적용 체계 음력(태음태양력) 양력(태양력)
추가 내용 1년 중 한 달을 더 삽입 4년에 한 번 2월 29일 추가
발생 주기 19년에 7번 4년에 한 번
목적 계절과 음력 사이 오차 보정 계절과 양력 사이 오차 보정
 

 

🌸 윤달에 전해 내려오는 속담들

윤달이 얼마나 특별하게 여겨졌는지는 옛 속담들에서도 알 수 있어요.

  • “윤달에는 죽은 조상도 쉬러 간다.”
  • “윤달에 장 담그면 장맛이 오래 간다.”
  • “윤달에 이사하면 탈이 없다.”

이러한 말들은 모두 윤달이 하늘이 잠시 쉬는 틈, 그래서 인간이 마음 편히 움직일 수 있는 시기로 여겨졌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앞으로의 윤달 일정은?

해윤달음력 날짜(시작 기준)
2023 윤2월 3월 22일
2025 윤6월 7월 25일
2028 윤5월 6월경 예정
 

👉 2025년 윤달은 ‘윤6월’, 무더운 여름철입니다. 이사나 조상 관련 행사를 고려하신다면 좋은 시기일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윤달은 단순한 달력상의 조정이 아니라, 오랜 세월을 거치며 사람들의 삶과 믿음 속에 자리한 문화적 유산입니다.
하늘이 만든 시간의 틈, 윤달.

올해 윤달이 있다면,
그 특별한 시간 안에서 조용히 마음을 정돈하고, 미뤄왔던 일을 해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

+ Recent posts